사고로 인한 인명의 손실에는 사고자의 생애로 인한 경중이 따로 있을 수 없다. 다만, 사회적 관심과 책임 등의 문제로 우선순위는 가능할지 모른다.
굳이 위의 두 사례를 비교하는 것은 인명 사고에 반응하는 국내의 모습에 모순과 위선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세월호 발생 후 3년이 지나도록 그 슬픔을 향유하며 재발 방지를 염원했다지만, 그건 정부에 대한 일방적인 요구에 지나지 않는, 자기 책임 회피에 불과할 뿐이라고 생각된다.
세월호 사고로 인한 손실은 무엇보다 인명임에도 그에 대처하는 자세는 정신적 소모만이 횡행했다고 본다. 피해자의 대부분이 고교생이라는 것에서 오는 연민과 대형 인명 참사라는 것에서 오는 경각심을 정부에 대한 불신과 감정의 남발로 해소하려 했을 뿐이다.
그렇다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수호할 국가의 책무를 방임해도 된다는 뜻이 아니다. 사후 처리가 미흡하면 미흡한 대로 그것이 최선임을 받아들일 수 있는 현실 감각을 직시하자는 것이다. 사실이 사실 같지 않다고 하여 허위를 사실로 위장함으로써 자가당착에 빠져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그 시험대가 스텔라 데이지호를 바라보는 시선이 될 것이다.
그 시험대가 스텔라 데이지호를 바라보는 시선이 될 것이다.
2017년 4월 20일 현재. 대통령 대행 체제 하에서 제19대 대통령 선거운동이 실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통령 후보자들이 내거는 대선 공약은 결과적으로 무엇을 위한 것인지 묻고 싶다.
대통령 후보자들의 선거 유세 현장에서 먼 타국의 바다에서 침몰한 선박의 국민에 대한 책임은 아직은 없다고 할 것인가?
솔직히 세월호 인양의 목적을 난 잘 모르겠다. 사고자의 유품이라도 바라는 유가족의 자기만족을 충족시켜 주기 위한 것인지, 사고에 대처하는 국가의 의지인지 말이다. 아직도 바다 속에서 슬픔을 삭이고 있는 선박이 없다고 단언할 수 있는지 알아 보라. 나아가 앞으로도 그런 사고가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단정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지 생각해 보라.
댓글 없음 :
댓글 쓰기